MY MENU

사회적관심 판례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892 [경매 법정지상권]강제경매의 목적이 된 토지 또는 그 지상 건물에 관하여 강제경매를 위한 압류나 그 압류에 선행한 가압류가 있기 이전에 저당권이 설정되어 있다가 강제경매로 저당권이 소멸한 경우, 건물 소유를 위한 관습상 법정지상권의 성립 요건인 ‘토지와 그 지상 건물이 동일인 소유에 속하였는지’를 판단하는 기준 시기, 대법원 2013. 4. 11. 선고 2009다62059 판결 [건물명도등] [공2013상,837] 관리자 2020.06.16 94
891 [아파트분양계약 입주예정일 위약금]계약해제 시 반환할 금전에 가산할 이자에 관하여 당사자 사이에 약정이 있는 경우, 이행지체로 인한 지연손해금에 관하여도 그 약정이율이 적용되는지 여부 및 이때 약정이율이 법정이율보다 낮은 경우, 법정이율에 의한 지연손해금을 청구할 수 있는지 여부, 대법원 2013. 4. 26. 선고 2011다50509 판결 [분양대금반환등] [공2013상,931] 관리자 2020.06.16 135
890 [이혼 재산분할 채무분담]부부가 이혼할 때 쌍방의 소극재산 총액이 적극재산 총액을 초과하여 재산분할을 한 결과가 결국 채무의 분담을 정하는 것이 되는 경우에도 재산분할 청구를 받아들일 수 있는지 여부 및 이 경우 채무를 분담하게 할지 여부와 분담의 방법 등을 정하는 기준, 대법원 2013. 6. 20. 선고 2010므4071,4088 전원합의체 판결 [이혼·이혼및재산분할등] [공2013하,1332] 관리자 2020.06.16 139
889 [계약상의 급부가 계약의 상대방뿐 아니라 제3자에게 이익이 된 경우]의무 없이 타인을 위하여 사무를 관리한 자가 타인에 대하여 민법상 사무관리 규정에 따라 비용상환 등을 청구할 수 있는 외에 사무관리에 의하여 사실상 이익을 얻은 제3자에게 직접 부당이득반환을 청구할 수 있는지 여부, 대법원 2013. 6. 27. 선고 2011다17106 판결 [부당이득금] [공2013하,1289] 관리자 2020.06.16 107
888 [근저당권 부동산매매]채무자와 물상보증인의 공유인 부동산에 관하여 저당권이 설정된 후 채무자가 자신의 지분을 양도한 경우, 그 양도가 사해행위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할 때 채무자 소유의 지분이 부담하는 피담보채권액, 대법원 2013. 7. 18. 선고 2012다5643 전원합의체 판결 [대여금및사해행위취소] [공2013하,1561] 관리자 2020.06.16 111
887 [임대차보증금]민법 제347조에서 채권질권의 설정을 위하여 교부하도록 정한 ‘채권증서’의 의미 및 임대차계약서 등 계약 당사자 쌍방의 권리의무관계 내용을 정한 서면이 위 ‘채권증서’에 해당하는지 여부, 대법원 2013. 8. 22. 선고 2013다32574 판결 [임대차보증금반환] [공2013하,1698] 관리자 2020.06.16 151
886 [부당이득금 반환]기초자치단체의 의원으로서 관할 등기소에 청탁하여 이 사건 임야의 등기명의인 표시가 경정되도록 하여 주겠다는 명목으로 원고의 총무 등으로부터 1억 원을 교부받은 것을 부당이득으로 반환하여야 한다고 주장, 대법원 2013. 8. 22. 선고 2013다35412 판결 [부당이득금반환] [공2013하,1721] 관리자 2020.06.16 165
885 [부양료]부모와 성년의 자녀·그 배우자 사이에 과거 부양료를 청구할 수 있는 경우, 부부 일방의 부모 등 그 직계혈족과 상대방 사이에 직계혈족이 사망하고 생존한 상대방이 재혼하지 않은 경우에 부양의무가 인정되는 경우, 대법원 2013. 8. 30.자 2013스96 결정 [부양금] 관리자 2020.06.16 354
884 [명의신탁 부동산매매]이른바 계약명의신탁에서 매매계약을 체결한 악의의 매도인이 명의수탁자 앞으로 부동산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친 경우, 명의수탁자가 그 부동산을 제3자에게 처분하는 행위가 매도인의 소유권을 침해하는 불법행위가 되는지 여부 및 이때 매매대금을 수령한 매도인에게 명의수탁자의 처분행위로 인하여 손해가 발생하였다고 볼 수 있는지 여부, 대법원 2013. 9. 12. 선고 2010다95185 판결 [소유권이전등기등] [공2013하,1747] 관리자 2020.06.16 241
883 [토지매매]부당이득반환청구권과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 중 어느 하나에 관한 소를 제기하여 승소 확정판결을 받았으나 채권의 만족을 얻지 못한 경우, 나머지 청구권에 관한 이행의 소를 제기할 수 있는지 여부 및 손해배상청구의 소를 먼저 제기하여 과실상계 등으로 승소액이 제한된 경우, 제한된 금액에 대한 부당이득반환청구권 행사의 허용 여부, 대법원 2013. 9. 13. 선고 2013다45457 판결 [손해배상] [공2013하,1795] 관리자 2020.06.16 233
882 건물신축 도급계약에서 완성된 신축 건물에 하자가 있고 하자 및 손해에 상응하는 금액이 공사잔대금액 이상이어서 도급인이 하자보수청구권 등에 기하여 수급인의 공사잔대금 채권 전부에 대하여 동시이행 항변을 한 경우, 수급인이 공사잔대금 채권에 기한 유치권을 행사할 수 있는지 여부, 대법원 2014. 1. 16. 선고 2013다30653 판결 [손해배상(기)] [공2014상,398] 관리자 2020.06.16 192
881 [전세권 저당권]저당권이 설정된 전세권의 존속기간이 만료된 경우, 저당권자가 전세금의 지급을 구하는 방법 / 전세권저당권자가 전세금반환채권에 대하여 물상대위권을 행사한 경우, 전세권설정자가 전세권자에 대한 반대채권으로 전세권저당권자에게 상계로써 대항할 수 있는지 여부, 대법원 2014. 10. 27. 선고 2013다91672 판결 [양수금] [공2014하,2247] 관리자 2020.06.16 145
880 [유언장 효력] 유언자가 자필증서에 의한 유언을 하면서 주소를 자서하지 않은 경우, 유언자의 특정에 아무런 지장이 없다고 하여 효력을 인정할 수 있는지 여부, 대법원 2014. 10. 6. 선고 2012다29564 판결 [부당이득금반환] 관리자 2020.06.16 204
879 [의료법위반]무면허 의료행위 등을 금지․처벌하는 구 의료법 제87조 제1항 제2호, 제27조 제1항이 대한민국 영역 외에서 의료행위를 하려는 사람에게까지 보건복지부장관의 면허를 받을 의무를 부과하고, 이를 위반한 자를 처벌하는 규정인지 여부 / 내국인이 대한민국 영역 외에서 의료행위를 하는 경우, 구 의료법 제87조 제1항 제2호, 제27조 제1항의 구성요건에 해당하는지 여부, 대법원 2020. 4. 29. 선고 2019도19130 판결 〔보 관리자 2020.06.16 156
878 [건축물디자인 저작권침해]건축사인 피고인이 甲으로부터 건축을 의뢰받고, 乙이 설계․시공한 카페 건축물의 디자인을 모방하여 甲의 카페 건축물을 설계․시공함으로써 乙의 저작권을 침해하였다는 내용으로 기소된 사안, 대법원 2020. 4. 29. 선고 2019도9601 판결 〔저작권법위반〕 관리자 2020.06.16 103